맨위로가기

현대 블루시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블루시티는 CNG 엔진과 전기 모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버스이다. 그린시티의 CNG 엔진, 반자동 변속기, 전기 모터,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장착하여 연료 효율을 높이고 오염 물질 배출을 줄였다. 정차 시 엔진이 정지하고, 출발, 가속, 경사로 주행 시에는 엔진과 모터가 함께 사용되며, 감속 및 내리막길 주행 시에는 배터리를 충전한다. 현재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북도에서 운행 중이며, 강원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부산광역시에서는 운행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플러그인 방식의 순수 전기버스와 수소연료전지버스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디자인에 일부 변경이 있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2006년부터 생산한 대형 버스로,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이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우측 핸들 사양으로도 판매되었고 201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 2011년 도입된 자동차 - 쉐보레 올란도
    쉐보레 올란도는 GM의 델타 II 플랫폼 기반 전륜구동 MPV로, 2010년 파리 모터쇼에서 공개되어 2011년 국내에 출시되었으나 판매 부진과 군산공장 폐쇄로 단종되었고, 이후 중국 시장에서 2세대 모델이 출시되었지만 국내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 2011년 도입된 자동차 - 아우디 Q3
    아우디 Q3는 아우디에서 생산하는 준중형 SUV로, 2011년 1세대 모델 출시 이후 2018년부터는 MQB A2 플랫폼 기반의 2세대 모델이 생산되고 있으며, 폭스바겐 티구안과 자매차 관계이고 2019년에는 쿠페형 모델인 Q3 스포츠백과 고성능 모델인 RS Q3도 출시되었다.
  • 현대자동차 -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는 현대자동차가 2021년에 출시한 전기차로, 3m에 달하는 휠베이스를 기반으로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E-GMP 플랫폼을 기반으로 800V 고속 충전 시스템을 지원하며 V2L 기능을 통해 최대 3.6kW의 전력을 공급한다.
  • 현대자동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현대 블루시티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자동차 정보
이름현대 블루시티
아진교통 141번
아진교통에 인도된 블루시티(현재는 퇴역)
차종준대형버스
제조사현대자동차
별칭해당 없음
생산 년도2011년~2019년
조립대한민국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완주산단5로 163 (용암리 800) 전주공장
선행 차량에어로시티
차체 형식해당 없음
구동 방식후륜구동
차대프레임
엔진 정보
엔진G240
최고 출력240마력 + 모터 81마력
최대 토크90kg·m + 모터 58kg·m
변속기6단 반자동(AMT)
크기
축간 거리5,400mm
전장10,955mm(고상)/10,995mm(저상)
전폭2,490mm
전고3,350mm(저상)/3,395mm(고상)
전비 중량해당 없음
연료천연가스+전기
관련 차량
관련 차량현대 에어로시티
현대 그린시티
설계
설계자해당 없음
언어별 이름
영어Hyundai BlueCity

2. 원리

CNG 하이브리드 버스는 CNG 엔진과 전기모터를 함께 사용하여 연료 효율을 높이고 오염물질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버스이다. 주행 상황에 따라 엔진과 모터의 동력을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사용한다.

정차 시에는 엔진 가동을 멈춰 불필요한 연료 소모와 배출가스를 줄인다.[1] 출발할 때는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작동하여 초기 가속을 돕는다. 일정한 속도로 주행할 때는 주로 엔진 동력을 사용하며, 가속하거나 언덕을 오를 때는 엔진과 전기 모터가 함께 힘을 낸다. 반대로 감속하거나 내리막길을 갈 때는 버려지는 운동 에너지를 회생 제동을 통해 전기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다.

2. 1. 현대 블루시티의 기술적 특징

CNG 하이브리드 버스는 CNG 엔진에 전기모터를 결합하여 두 가지 동력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연료 효율을 높이고 오염물질 배출을 줄인 친환경 버스다. 그린시티에 장착되는 240마력 G240 CNG 엔진과 현대트랜시스의 6단 반자동 변속기를 적용했다. 또한 60kW(81마력)의 고효율 전기 모터와 3.8kWh 용량의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장착했다. CNG 봄베는 기존 7개에서 5개로 줄였지만, 용량은 770L를 유지하며 1회 충전 주행거리는 기존 CNG 버스와 동일한 340km를 확보했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해 정차 시에는 엔진이 정지[1]하고, 출발 시에는 엔진과 모터가 함께 작동한다. 정속 주행 시에는 엔진만 사용하며, 가속하거나 경사를 오를 때는 엔진과 전기 모터가 함께 동력을 제공한다. 반대로 감속하거나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는 회생 제동을 통해 전기 모터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EHS(경사로 발진 보조 장치)를 장착하여 경사길에서 차량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3. 운행 지역

대한민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등 주요 도시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등 일부 지역에서 시내버스 등으로 운행되고 있다. 다만, 일부 지역에서는 해당 차량을 운용하는 업체가 없어 운행되지 않는다.

3. 1. 운행 중인 지역

강원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부산광역시 등지에서는 이 차량을 보유한 업체가 없다.


3. 2. 운행하지 않는 지역

강원특별자치도, 대전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부산광역시 등지에서는 이 차량을 보유한 업체가 없다.

4. 갤러리

세종교통 소속 세종시 BRT 990번 (현재는 세종도시교통공사로 이관)


청주교통 소속 청주시내버스 851번


현대 블루시티 저상형 내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